여기저기서 2차 소비쿠폰(민생회복지원금)을 신청하라는 알림은 쏟아지는데, 정작 내가 대상자에 해당하는지, 혹시나 놓치는 건 아닌지 답답하고 불안한 마음이 드시죠? 복잡한 정부 정책, 고객의 관점에서 속 시원하게 정리해 드립니다. 더 이상 카드사, 은행 앱을 전전하며 헷갈리지 마세요. 이 포스팅 하나로 확실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1.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: ‘국민비서’ 알림 서비스
정부가 직접! 미리! 알려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. 바로 ‘국민비서’ 알림 서비스입니다.
- 언제부터? 2025년 9월 15일(월)부터 순차적으로 알림이 발송됩니다. 신청 시작일인 22일보다 일주일 먼저 알려주니 가장 마음 편한 방법입니다.
- 어떻게 신청하나? 평소 자주 사용하시는 앱을 통해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대표 앱: 네이버(Naver), 카카오톡(KakaoTalk), 토스(Toss)
- 금융 앱: KB국민은행(KB스타뱅킹), 신한은행(신한SOL), 우리은행(우리WON뱅킹), 카카오뱅크 등 주요 은행 및 카드사 앱
- 이미 1차 때 신청했다면? 별도로 다시 신청할 필요 없이 2차 지급 대상 여부 알림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2. 내가 직접 조회하고 싶을 때: 온라인 조회 시스템 (9월 22일부터)
알림을 기다리기 답답하다면, 신청이 시작되는 2025년 9월 22일(월) 오전 9시부터 아래 사이트에서 직접 대상자 여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- 카드사 홈페이지 및 앱: 이용하시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 접속하면, 소비쿠폰 관련 메뉴에서 본인인증 후 바로 조회가 가능합니다.
-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및 앱: ‘The건강보험’ 앱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도 대상자 조회를 지원합니다.

- 지역사랑상품권 앱: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지급받을 예정이라면 해당 지역의 상품권 앱에서도 확인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
3. 온라인이 어렵다면: 오프라인 방문 조회 (9월 22일부터)
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직접 방문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: 신분증을 지참하고 방문하면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.
- 카드사 연계 은행 창구: 이용하려는 카드가 연계된 은행 영업점에 방문해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.
잠깐! 내가 2차 소비쿠폰 지급 대상 조건에 맞을까?
정확한 조회가 가장 좋지만, 내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지 미리 가늠해보고 싶다면 핵심 기준 두 가지를 확인해 보세요.
1. 소득 기준 (소득 하위 90%)
- 핵심: 2025년 6월분 본인 부담 건강보험료가 기준입니다.
- 가구원 수와 직장/지역가입자 여부에 따라 기준 금액이 달라집니다. 아래는 대표적인 예시이며, 정확한 기준은 정부 발표를 참고해야 합니다.
- 1인 가구 (직장가입자): 연소득 약 7,500만 원 (건강보험료 약 22만 원) 이하
- 4인 가구 (직장가입자, 외벌이): 건강보험료 약 51만 원 이하
-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? 가구원 수를 1명 추가하여 더 완화된 기준을 적용받습니다.
2. 재산 기준 (고액 자산가 제외)
- 아래 두 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소득 기준을 충족해도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- 재산세: 2024년도 가구원의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(1주택자 공시가 약 26억 7천만 원 수준)
- 금융소득: 2024년도 가구원의 금융소득(이자+배당) 합계액이 2,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
이것만은 꼭 주의하세요! 스미싱 문자 주의보
“소비쿠폰 지급 대상자 안내” 등의 문구와 함께 인터넷 주소(URL)가 포함된 문자는 100% 스미싱 사기입니다. 정부와 금융기관은 절대 URL이 포함된 안내 문자를 발송하지 않습니다. 의심스러운 문자는 즉시 삭제하시고 절대 링크를 누르지 마세요!
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 공식 콜센터로 문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정확합니다.
-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담 콜센터: 1670-2525
- 국민건강보험공단: 1577-1000